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 시리즈 11번째 역사 – 갤럭시S20
여러분은 스마트폰을 얼마나 자주 교체하시나요? 스마트폰의 교체주기는 평균 2년이라고 하는데 다른 전자기기들에 비해 비교적 작다고 할 수 있으며 기기 특성상 업데이트 및 특정 상황을 제외한다면 장비를 종료하는 상황이 거의 없다보니 스마트폰 수명이 적게는 2년 길게는 3년정도이며 이정도 사용을 하게 되면 배터리 효율이 줄어들고 USB 단자에 문제가 생긴다든가 하는 자잘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결국 휴대폰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까지 오게 됩니다.
물론 전자기기라는것이 같은 부품을 사용하더라도 그 내구성에 있어 약간은 케바케다보니 오래 사용하는 여러 사람을 비교해보더라도 결과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누군가는 신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또 누군가는 오래 스는 스마트폰이 실증나서 즉 성능에 문제가 없는데도 교체를 하는 사람들도 있겠죠? 그렇다보니 이에 맞춰 스마트폰은 다른 전자기기와는 다르게 매년 신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역사중 11번째 기기인 갤럭시S20 시리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Contents
삼성 갤럭시S20 발표 및 출시일
매년 삼성전자에서는 삼성 갤럭시 언팩 행사를 상반기와 하반기에 나눠서 2번 진행하고 있으며 상반기에는 갤럭시S 시리즈를 하반기에는 이제는 단종된 갤럭시노트 시리즈 그리고 Z플립/Z폴드 및 갤럭시탭 등 몇가지 추가기기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2020년 2월 12일 삼성 갤럭시 언팩 2020에서 공개된 스마트기기로는 갤럭시S20 / 갤럭시S20+ / 갤럭시S20 울트라(Ultra) / 갤럭시 Z플립 / 갤럭시 버즈+ 총 5종류가 발표되었으며 그중 갤럭시S20은 같은해 2월 20일 사전예약 판매가 시작되어 대중들에게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 색상은 코스믹 그레이, 클라우드 블루,클라우드 핑크, 클라우드 화이트 4종으로 출시되었습니다.
삼성 갤럭시S0 기기 성능 및 사양
갤럭시S20 기기 성능 및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P
갤럭시S20 기기에 사용된 프로세서(AP)는 삼성 엑시노스 990 및 퀄컴 스냅드래곤 865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며 몇해전부터 생산공정이 거의 정형화되다시피 하였는데 삼성 엑시노스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 7nm FinFET LPP(EUV) 공정으로 생산되었으며 퀄컴 스냅드래곤은 TSMC 7nm FinFET P(ArFi) 공정에서 생산되었습니다.
2) 램(메모리)
전작까지 LPDDR4X 메모리가 사용되었다면 이번 제품부터는 그보다 한단계 상승한 LPDDR5 메모리를 사용하게 되었으며 용량 역시 8GB 지원만 가능했던 전작과는 다르게 8GB/12GB 이원화가 되어 판매되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 판매되고 있던 갤럭시S20 시리즈는 모두 5G 통신용 모델이다보니 8GB 제품이 아닌 12GB 메모리가 탑재되었습니다.
내장 메모리는 기존 UFS 2.1에서 한단계 진화한 UFS 3.0 규격의 128GB 단일모델로 판매가 진행되었으며 마이크로SD 외장 메모리를 통해 최대 1TB 추가 용량 확장이 가능합니다.
3) 화면(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패널은 엣지 디스플레이를 기본으로 적용하며 다이나믹 아몰레도 2X방식의 인피니티-O 디플레이가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화면은 전작보다 세로로 더 길어져 3200 1440 해상도를 가지게 되었으며 6.2인치 20:9 비율로 제작되었습니다. 해당 해상도는 세로가 이전작보다 더 커졌음에도 불구하고 Quad HD+라고 전작과 동일하게 부르고 있습니다.
화면 해상도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3개의 형태로 조절해가며 사용할 수 있는데 1600 720 / 2400 1080 / 3200 1440 해상도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각각 HD+ / FHD+ / QHD+ 라고 부릅니다. 이에 더해 최대 주사율이 120Hz로 설정되었지만 최대 해상도에서는 120Hz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조금은 아쉽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통신모듈
통신모듈은 LTE와 5G 두가지 모두 사용이 가능하지만 LTE는 Cat20 탑재가 AP에 내장되어 나온 반면 5G는 3GPP의 Rel.15를 만족하는 NR이 별도로 탑재되었습니다. 5G 기준 최대 다운로드 5.1Gbps를 지원하며 업로드 속도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통신3사가 5G 서비스를 3.5Ghz 대역에서만 지원하고 있고 28Ghz 대역은 사실상 손을 놓은 상황이기 때문에 5G의 최대 속도는 의미가 없는 말 그대로 이론상 가능한 속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배터리
배터리는 전작보다 600mAh 증가한 4000mAh 용량이 내장형으로 탑재되었으며 USB PD 3.0 규격의 삼성 Super Fast Charging 규격 및 Adaptive Fast Charging 규격 그리고 퀄컴 퀵 차지 2.0 규격의 고속충전 기술이 지원됩니다. Qi/AirFuel 방식의 무선충전기술 역시 지원하며 다른 무선충전이 가능한 기기에 배터리 소모를 통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9W 무선 배터리 공유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6) 카메라
카메라는 후면 기준 전작이 삼성 센서만 이용했던 것과는 다르게 다시 삼성과 소니의 센서를 혼용하게 되었으며 1200만화소를 기본화각으로 설정하였습니다. 또한 6400만 화소 카메라를 망원카메라로 별도로 탑재하였으며 또 한번의 1200만 화소 카메라를 광각으로 탑재하여 트리플 카메라 렌즈로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오토포커스 지원은 기본이며 망원카메라를 이용한 3배 광학 줌 및 소프트웨어를 통한 30배 디지털 줌을 지원합니다. 문제는 이 디지털줌이라는게 화면을 최대로 당기면 자글자글한 표면 때문에 해당 사진을 실사용으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해당 방식은 시리즈가 올라가며 많이 개선이 되었습니다. 전면 카메라 역시 삼성과 소니의 센서를 혼용하였으며 1000만 화소의 카메라가 탑재되었습니다.
7) 기타 여담
방수방진 등급은 IP68이며 안드로이드10 버전이 기본탑재되었습니다. 초음파 지문인식 센서가 디스플레이 하단에 내장되어 있으며 3.5mm 오디오 단자가 포함되지 않은 최초의 스마트폰입니다. 해당 시리즈 이후부터는 사운드 출력을 USB Type-C 포트로 대신하게 됩니다.
안드로이드10 버전 이상 탑재된 기기부터는 기존의 변환케이블이 필요했던 유선 DEX와는 다르게 별도의 케이블이 없어도 DEX 실행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무선이 유선보다 화면송출에 불리한 단점이 있는 만큼 해당 부분은 감안을 해야 하기도 했습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큰 문제는 없지만 게임을 할때처럼 순간순간의 스피드가 필요한 경우 미세한 딜레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갤럭시S20 파생상품으로는 갤럭시S20 택티컬 에디션(미군용) / 갤럭시S20 위믹스 에디션이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의 11번째 역사인 갤럭시S20 스마트폰에 대해 여러가지 알아보았습니다. 스마트폰 공개년도에 맞춰 갤럭시S11이 아닌 갤럭시S20으로 이름을 변경한 것은 아이폰과 시리즈 순서를 엇나가게 하려는 의도적인 전략일까요?